해외직구 목록통관과 일반통관 핵심 정리!

해외직구에 입문하신다면, 통관절차에 대해 개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품목과 금액을 신경쓰지 않고 해외쇼핑을 하다보면 통관 절차 시에 관부가세 폭탄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관부가세 폭탄을 맞는다면, 해외직구의 강력한 장점 중 하나인 국내 대비 저렴한 가격이란 이점을 잃어버립니다.

또한 수입이 불가한 제품을 구매했다가 통관시 폐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해외직구 쇼핑 목록통관의 뜻과 개념, 일반통관에 대해 정리합니다.



해외직구 목록통관이란?

목록통관은 2013년 3월 한국과 미국, 한미 FTA가 발효되고 관세법이 개정되면서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핵심 내용은 해외직구 소비자가 자가사용을 목적으로 조건을 충족하는 품목에 대해서는 목록통관 대상으로 구분해 관부가세를 면제해 통관하는 제도입니다.

관부가세는 관세와 부가세를 합쳐서 해외직구족들이 부르는 명칭입니다.

관세는 수출이나 수입시 세관을 통과되는 화물에 부과되는 세금을 의미하며, 부가세는 흔히 아시는 부가가치세의 줄임말인데요.

관부가세에 대해서는 별도 포스팅으로 한 번 정리를 하겠습니다.


해외직구 목록통관 기준

해외직구 목록통관 기준

해외직구 목록통관 물품가격의 기준은 이미지로 정리한 내역을 모두 충족시켜야 합니다.

개인이 자가사용을 목적으로 해야합니다. 그리고 미국 해외직구의 경우에는 물품가격이 200불 이하여야 합니다.

미국 외 나라에서 해외직구를 하신다면 물품가격이 150불 이하여야 합니다.

목록통관 상품은 대체적으로 일반통관으로 지정해 놓은 상품과 수입금지 품목을 제외하고는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해당 조건을 충족하셨다면 해외직구 상품 통관 시 관세 및 부가세가 면제됩니다.


해외직구 목록통관 시 물품가격 기준

해외직구 목록통관 시 물품가격 기준

목록통관 시 물품가격을 산정하는 기준입니다.

보통 해외직구에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이 실수를 많이하셔서 관부가세를 내시는 경우가 많은 부분입니다.

물품가격을 산정할 때는 해외직구 쇼핑몰에서 결제한 상품 가격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 결제 금액에 해당 국가 내 운송비 해당 국가에서 발상한 세금을 합산해 주셔야합니다.

세 가지 요소를 합산해 미국의 경우에는 200달러, 미국 외 지역의 경우에는 150달러까지 관세와 부가세가 면제됩니다.


해외직구 일반통관이란?

해외직구 일반통관

해외직구로 상품을 주문했는데, 알고보니 일반통관 상품인 경우가 있습니다.

해외직구 시 목록통관과 일반통관에 대해서 잘몰랐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입니다.

일반통관은 목록통관이 되지 않는 건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리고 일반통관은 관세사를 통해 세관장에게 수입신고를 해야 통관이되는 제품입니다.

특송업체가 통관목록만을 제출하는 목록통관과는 통관 절차와 시간이 차원이 다릅니다.

또한 일반통관시에는 관세 및 부가세가 부가되는데, 단 개인자가용 인정 시 물품 가격이 미화 150달러 이하 시 감면신청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부분은 ‘면제’가 아니라 ‘감면’이라는 점입니다.


해외직구 일반통관 대상상품 리스트

해외직구 시 일반통관 대상상품 리스트를 살펴보겠습니다.

보통 의약품, 의료기기와 같은 한국에서도 엄격한 기준으로 관리되고 있는 품목들이 일반통관 상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해외직구 일반통관 대상상품 리스트

그리고 짝퉁 가방, 신발, 의류 , 악세사리 등 지식재산권 침해나 위반 의심물품부터 술과 담배 등도 일반통관 대상상품입니다.

참고로 짝퉁 제품의 경우에는 일반통관 대상상품 리스트에 올려져있지만 그렇다고 다 통관되는 것이 아닙니다.

관세청에서 폐기되는 경우도 있으니, 지식재산권 침해 우려가 있는 제품은 함부로 해외직구를 하시면 안됩니다.

또한 요즘 액상 담배 등을 해외직구로 구매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관련된 내용들을 충분히 숙지하시고 주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해외직구 관세청 자가사용인정 기준

해외직구 관세청 자가사용인정 기준

마지막으로 관세청에서 지정한 해외직구, 통관상품의 자가사용 인정기준입니다.

흔히 우리가 아이허브나 쿠팡 로켓직구를 통해 주문하는 건강기능식품도 자가사용 인정기준을 넘으면 안됩니다.

그래서 보통 요즘 쇼핑몰들은 해당 수량 초과 시 주문이 안되게 막히거나 경고문구를 표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쇼핑몰에서 각각 주문해서 같은 날 통관 시에는 처리하기 힘든 일이 발생할 수 있으니 관세청 기준에 맞추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해외직구 관부가세와 합산과세를 살펴보겠습니다.


👀관세청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 해외직구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해주는 공식 영상도 있습니다.

✔️텍스트로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들은 해당 영상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해외직구 및 해외직구 쇼핑몰 할인과 관련된 다른 글들도 참고해 주세요


네이버카페 세일캠퍼스 가입 또는 텔레그램 채널을 구독하시면 누구보다 빠르게 프로모션 소식과 핫딜 정보를 빠르게 얻으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카페 세일캠퍼스

포스팅에 포함된 글과 사진은 출처 및 URL을 본문에 명시하는 조건으로만 공유 및 인용 가능합니다.

6 Comments
  1. […] 해외직구 목록통관과 일반통관 핵심 정리! […]

  2. […] 분류되고 세금납부를 해야합니다. 해외직구 상품의 자가사용 인정기준은 이 글을 참고해 주시기 […]

  3. […] 해외직구의 목록통관과 일반통관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

  4. […] 여기서 과세가격이란 앞선 포스팅에서 정리한 물품가액을 의미합니다. […]

    Leave a reply

    세일박사
    Logo